📌스트림이란? 많은 수의 데이터를 다룰 때, 컬렉션이나 배열에 데이터를 담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코드를 작성하면 너무 길고, 재사용성도 떨어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것이 스트림(stream)이다. 스트림은 데이터 소스를 추상화하고, 데이터를 다루는데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들을 정의해 놓았다. 데이터소스를 추상화하였다는 것은, 데이터 소스가 무엇이던 간에 같은 방식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것과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트림(Stream)은 컬렉션(배열 포함)의 저장 요소를 하나씩 참조해서 람다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복자이다. 간단한 예를 하나 보여주도록 하겠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니 그냥 보기만 해도 된다. //기존 Iterator List..
📌람다식 (Lambda expression)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나오기 전부터 Lisp 또는 Scheme와 같은 함수적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있었다. 현업에서는 호응을 얻지 못하였지만, 빅데이터가 각광받으면서 이를 프로그램적으로 다룰 방법이 필요해짐에 따라 멀티 코어를 활용한 분산처리와, 병렬화 기술이 필요하였다. 즉 이제 하나의 CPU안에 다수의 코어를 삽입하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들이 등장하면서 일반 프로그래머에게도 병렬화 프로그래밍에 대한 필요성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Java 8에서는 병렬화를 위해 컬렉션(배열, List, Set, Map)을 강화했고, 이러한 컬렉션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스트림(Stream)을 강화했다. 또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함수..
단축키들 찾기 : Shift + Ctrl + A 로 단축키들을 찾을 수 있다. GENERAL -Alt + #[0-9] : 각 단추키에 해당하는 도구창을 연다. ( ex. Alt+1 : 프로젝트 도구창을 토글할 수 있다.) -Esc : 열린 도구창에 상관없이 에디터에 다시 포커스가 위치하게 하는 단축키이다. -space : 프로젝트 창 미리보기 (Alt+1 을 눌러 프로젝트 도구창을 열고 클래스 파일을 미리보고 싶은 경우) -ctrl + shift + F12 : 에디터 창 최대로 키우기 -ctrl + tab : 에디터 창 이동하기 -최근 파일 목록 열기 : Ctrl + E Editing -단어별 이동 : ctrl + ←,→ -라인 시작/끝 이동 : home , end -페이지 위/아래 : page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