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P 개발자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INTP 개발자

  • 분류 전체보기 (399)
    • Java (54)
      • 소개 (2)
      • 기본 문법 및 OOP (9)
      • Java API (0)
      • Java 응용 프로그래밍 (0)
      • Java 8+ (0)
      • Java 외부 라이브러리 (0)
    • Spring (1)
      • Spring Core (0)
      • Spring Web (0)
      • Spring Data (0)
      • Spring Batch (1)
      • Spring Infra (0)
    • Docker (7)
    • Messaging & Event (3)
      • EDA(Event Driven Architectu.. (2)
      • Kafka (1)
    • CS (17)
      • Architecture (1)
      • Newtwork (0)
      • OS(Operating System) (0)
      • Algorithms (0)
      • 면접 준비 (7)
      • 네트워크 (2)
      • HTTP (6)
      • 알고리즘 (1)
    • Web (13)
    • AWS (6)
    • Spring Framework (33)
    • Spring Boot (10)
    • Spring Data (22)
      • JPA (14)
      • Query DSL (7)
      • Redis (1)
    • Spring Security (9)
    • Spring Batch (4)
    • MyBatis (10)
    • Front-End (51)
      • JS (27)
      • Vue.js (17)
      • React (5)
      • JQuery (0)
      • d3.js (2)
    • DBMS (24)
      • SQL, RDBMS (16)
      • MongoDB (5)
      • Redis (3)
    • Kafka (3)
    • 리눅스 (Linux) (4)
    • 디자인 패턴 (3)
    • VCS (8)
    • API (0)
    • TOOL (3)
    • Reading Book (28)
      • 이펙티브 자바 (11)
      • Clean Code (10)
      • 1분 설명력 (4)
      • HOW TO 맥킨지 문제해결의 기술 (3)
    • C# (4)
    • NSIS (6)
    • JSP & Servlet (65)
      • 개념 (42)
      • 실습 (23)
    • ETC (11)
  • 홈
  • 태그
SpringBoot에서 MockMvc을 활용한 컨트롤러, HTTP 요청 테스트 방법

SpringBoot에서 MockMvc을 활용한 컨트롤러, HTTP 요청 테스트 방법

MockMvc 소개 MockMvc: MockMvc는 Spring Framework의 일부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HTTP 요청을 시뮬레이션하고 컨트롤러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Spring 환경을 통합한 테스트 Spring 컨텍스트와 통합한 테스트 (Spring Bean을 주입하여 테스트 가능) HTTP 요청 및 응답 시뮬레이션 Spring Boot 프로젝트 설정 MockMvc와 JUnit을 사용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의존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MockMvc를 사용한 컨트롤러 테스트 MockMvc를 구성하여 API 엔드포인트..

  • format_list_bulleted Spring Boot
  • · 2023. 10. 4.
  • textsms
Spring Scheduler를 활용한 일정 주기 스케줄링 작업

Spring Scheduler를 활용한 일정 주기 스케줄링 작업

Spring Scheduler는 스케줄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Scheduling 활성화 설정 Spring Scheduler는 `@Scheduled` 어노테이션을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hedul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nableScheduling` 어노테이션을 명시해주어 Scheduling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EnableScheduling`을 명시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1: @SpringBootApplication이 위치한 클래스 위에 명시하는 방법 @EnableScheduling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ovidHosp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

  • format_list_bulleted Spring Boot
  • · 2023. 1. 25.
  • textsms
Spring Boot Log 남기기: Logback을 사용한 로그 전략

Spring Boot Log 남기기: Logback을 사용한 로그 전략

로그(Log)란? 로그(Log) 남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때 작동 정보인 로그(Log)를 기록하는 행위를 해주어야 합니다. 로그를 기록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추적하고, 오류 인지 및 잠재적인 문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즉 로깅을 통해 로직의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로깅은 개발자들에게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로그를 무분별하게 기록하면 로그 파일의 볼륨이 너무 커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외가 발생하는 곳이나, 중요 기능이 실행되는 부분에 적절한 로깅을 남겨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그 레벨 로그 레벨은 로그 메시지의 중요도를 나타냅니다. 로그 레벨에는 총 6가지의 레벨이 있습니다. 로깅 레벨을 올바르게 선택하면 적절한 정보만 로그로 남..

  • format_list_bulleted Spring Boot
  • · 2023. 1. 19.
  • textsms
Spring Boot Hibernate Validator와 Data Binding: 데이터 유효성 검사와 데이터 연결

Spring Boot Hibernate Validator와 Data Binding: 데이터 유효성 검사와 데이터 연결

Validation이란? 유효성 검증으로 전달 받은 데이터 객체의 내용에서 잘못된 내용이 있는지 유효성을 확인합니다. Spring은 주로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유효성 검증을 합니다. Java Bean Validation Spring validator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한 Validation 해당 포스팅에서는 Java Bean 기반으로 간편하게 개별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는 Java Bean Validation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Hibernate Validator'는 Bean Validation 표준의 구현체입니다. 의존성 추가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hibernate.validator:hibernate-validator:6.2.0.Final' } 제약 조건..

  • format_list_bulleted Spring Boot
  • · 2022. 8. 31.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399)
    • Java (54)
      • 소개 (2)
      • 기본 문법 및 OOP (9)
      • Java API (0)
      • Java 응용 프로그래밍 (0)
      • Java 8+ (0)
      • Java 외부 라이브러리 (0)
    • Spring (1)
      • Spring Core (0)
      • Spring Web (0)
      • Spring Data (0)
      • Spring Batch (1)
      • Spring Infra (0)
    • Docker (7)
    • Messaging & Event (3)
      • EDA(Event Driven Architectu.. (2)
      • Kafka (1)
    • CS (17)
      • Architecture (1)
      • Newtwork (0)
      • OS(Operating System) (0)
      • Algorithms (0)
      • 면접 준비 (7)
      • 네트워크 (2)
      • HTTP (6)
      • 알고리즘 (1)
    • Web (13)
    • AWS (6)
    • Spring Framework (33)
    • Spring Boot (10)
    • Spring Data (22)
      • JPA (14)
      • Query DSL (7)
      • Redis (1)
    • Spring Security (9)
    • Spring Batch (4)
    • MyBatis (10)
    • Front-End (51)
      • JS (27)
      • Vue.js (17)
      • React (5)
      • JQuery (0)
      • d3.js (2)
    • DBMS (24)
      • SQL, RDBMS (16)
      • MongoDB (5)
      • Redis (3)
    • Kafka (3)
    • 리눅스 (Linux) (4)
    • 디자인 패턴 (3)
    • VCS (8)
    • API (0)
    • TOOL (3)
    • Reading Book (28)
      • 이펙티브 자바 (11)
      • Clean Code (10)
      • 1분 설명력 (4)
      • HOW TO 맥킨지 문제해결의 기술 (3)
    • C# (4)
    • NSIS (6)
    • JSP & Servlet (65)
      • 개념 (42)
      • 실습 (23)
    • ETC (11)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querydsl
  • #jsp
  • #Java
  • #mybatis
  • #JDBC
  • #게시판
  • #회원 관리
  • #servlet
  • #이펙티브 자바
  • #Docker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