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에 대한 설명보다는 기능 중점으로 설명을 하기 위해 Spring Boot를 활용하여 간단한 예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oken 방식을 활용한 것이 아닌 기본 Session 방식을 이용하여 Spring Security를 구현한 예제입니다. 추후에 Token 방식을 활용한 예제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의존성 설정 dependencies { // Spring Security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security' } 보안 구성 파일 작성: WebSecurityConfig.java `WebSecurityConfigurerAdapter`를 상속하고 `@EnableWebSecurity` 어노테이션으로 활성화합니다...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는 Spring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안` 기능을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주로 `인증`과 `인가`를 처리하며 사용자의 신원 확인과 권한 부여를 담당합니다. Spring Security의 기능들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증명)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제공한 자격 증명(아이디/비밀번호 등)을 검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합니다.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며, 사용자 정의 인증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인가(Authorization)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권한 부여 및 접근 제어를 처리합니다. 사용자의 역할, 권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
Spring Framework설정 gradle dependencies { // ... // security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web:5.0.7.RELEAS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config:5.0.7.RELEAS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core:5.0.7.RELEAS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taglibs:5.0.7.RELEASE' } spr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