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와 멤버의 접근 권한을 최소화하자 잘 설계된 컴포넌트는 클래스 내부 데이터와 내부 구현 정보를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숨겨, 구현과 API를 깔끔히 분리한다. 오직 API를 통해서만 다른 컴포넌트와 소통한다. [정보은닉, 캡슐화]라고 하는 이 개념은 소프트웨어 설계의 근간이 되는 원리다. 정보은닉 장점 시스템 개발 속도를 높인다. 여러 컴포넌트를 병렬로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 관리 비용을 나춘다. 컴포넌트가 모듈화되어 있어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교체하는 부담도 줄어든다.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높인다. 큰 시스템을 제작하는 난이도를 낮춰준다. 성능 그 자체를 높여주지는 않지만, 성능 최적화에 도움 된다. → 컴포넌트들을 독립시켜 개발, 테스트, 최적화, 분석, 수정, 교체를 개별적으로 할..
equals 재정의 equals를 재정의할 때는 논리적 동치성을 비교할 때이며 Object 명세에 적힌 규약을 따라줘야한다. 반사성 null이 아닌 모든 참조 값 x에 대해, x.equals(x)는 true다. 객체는 자기 자신과 같아야한다. 대칭성 null이 아닌 모든 참조 값 x,y에 대해 x.equals(y)가 true면 y.equals(x)도 true이다. 두 객체는 서로에 대한 동치 여부에 똑같이 답해야 한다. 추이성 null이 아닌 모든 참조 값 x,y,z에 대해, x.equals(y)가 true이고 y.equals(z)도 true면 x.equals(z)도 true다. 삼단논법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일관성 null이 아닌 모든 참조 값 x,y에 대해, x.equals(y)를 반복해서 호출..
꼭 회수해야 하는 자원은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자 try-finally의 단점 우리는 자원의 닫힘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try-finally를 써왔다. static void copy(String src, String dst) throws IOException{ InputStream in = new FileInputStream(src); try { OutputStream out = new FileOutputStream(dst); try { byte[] buf = new byte[BUFFER_SIZE]; int n; while ((n = in.read(buf)) >= 0) out.write(buf, 0, n); } finally { out.close(); } }finally { in.clo..
객체는 재사용할 수 있으면 재사용하자! 예를 들어 문자열이 로마 숫자 인지 확인하는(유효한 패턴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이다. 아래와 같은 코드로 작성하게 되면 문자열을 확인할 때마다 Pattern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정규표현식을 표현하는 Pattern은 입력받은 정규표현식에 해당하는 유한 상태 머신을 만들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 비용이 높다. static boolean isRomanNumeralSlow(String s) { return s.matches("^(?=.)M*(C[MD]|D?C{0,3})" + "(X[CL]|L?X{0,3})(I[XV]|V?I{0,3})$"); } 아래와 같이 정규표현식을 표현하는 불변인 Pattern 인스턴스를 클래스 (정적) 초기화 과정에서 직접 생성하여 캐싱해두..
클래스들은 하나 이상의 자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정적 유틸리티를 사용한 예시) public class SpellChecker{ private static final Lexicon dictionary = ...; private SpellChecker(){} } 싱글턴을 사용한 예시) public class SpellChecker{ 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 ...; private SpellChecker(...){} public static SpellChecker INSTANCE = new SPellChecker(...); } 자원을(dictionary) 다른 구현 클래스로 교체해야 한다면 번거로운 작업이 될 것이다. dictionary 필드에서 final 한정자를 ..
싱글턴(Singleton) 싱글턴: 인스턴스를 오직 하나만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 무상태(stateless) 객체 설계상 유일해야 하는 시스템 컴포넌트 클래스를 싱글턴으로 만들면 테스트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타입을 인터페이스로 정의하여 구현체를 만든 싱글턴이 아니라면, 인스턴스를 가짜(mock) 구현으로 대체할 수 없기 때문 싱글턴 만드는 방식 1) public static 멤버가 final 필드인 방식 public class Elvis { public static final Elvis INSTANCE = new Elvis(); private Elvis() { } public void leaveTheBuilding() {...} } Elvis 클래스가 초기화될 때 만들어진 인스턴스가 전체 시스템에서 ..